이 프롬프트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잠재적 시장 규모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총 유효 시장(TAM), 서비스 가능 시장(SAM), 실질적 목표 시장(SOM)으로 구분하여 분석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산업 수요, 경쟁 요소, 매출 전망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기업가, 제품 리더, 비즈니스 애널리스트가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 유용합니다.
참고 URL: https://pm-prompt.vercel.app/prompt/24
PM Prompts - Curated Prompts for PMs
Find and discover the best prompts tailored for product managers.
pm-prompt.vercel.app
아래는 프롬프트입니다.
[제품/서비스명]의 시장 규모 잠재력 분석
1. 총 유효 시장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 산업 범위: 이 제품이 속하는 산업 및 전체 시장 개요.
• 지리적 범위: 시장 규모 추정에 포함할 지역 명시.
• 최대 고객 기반: 잠재적 사용자 수의 대략적인 규모.
• 매출 전망: 전체 시장을 점유했을 경우 예상되는 수익.
2. 서비스 가능 시장 (SAM, Serviceable Addressable Market)
• 기술적 장벽: 규제 준수, 하드웨어 요구사항, 시스템 호환성 등의 요소 식별.
• 지역 접근성: 현실적으로 도달 가능한 지역을 고려하여 TAM 조정.
• 플랫폼 제약: 기기 지원 여부, 소프트웨어 호환성 등의 제한 요소 고려.
3. 실질적 목표 시장 (SOM, 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 경쟁 환경: 경쟁사의 제품 및 시장 포화 상태 평가.
• 시장 침투율 예측: SAM에서 현실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장 점유율 추정.
• 성장 전망: 확장 가능성과 예상 채택률을 기반으로 한 성장 경로 정의.
제품 인사이트:
[제품 관련 배경 정보 입력]
시장 동향, 산업 보고서, 관련 벤치마크 등을 기반으로 한 신뢰성 있는 계산을 반영해야 합니다.
프롬프트 실행 결과 예시
아래는 카카오택시의 시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TAM(총 주소 가능 시장), SAM(서비스 가능 시장), SOM(서비스 가능 획득 시장)을 각각 분석하며, 구체적인 수치와 참고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1. 총 주소 가능 시장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1.1 산업 범위
• 택시 호출 및 라이드헤일링 서비스: 카카오택시는 기존 택시, 앱 기반 라이드헤일링, 기타 온디맨드 교통 서비스가 포함된 모빌리티 산업에 속함.
1.2 지리적 범위
• 주요 시장: 대한민국
•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등 대도시 및 전국 중소도시 포함.
• 향후 해외 시장 확장 가능성이 있지만, 초기 TAM 추정은 한국 시장을 기준으로 설정.
1.3 최대 고객 기반
• 인구수: 대한민국 총 인구 약 5,100만 명 (통계청).
• 스마트폰 보급률: 대한민국 스마트폰 보급률 90% 이상 (Statista: 한국 스마트폰 보급률).
• 잠재 사용자 수:
•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하면 약 4,300만~4,500만 명.
1.4 전체 시장을 점유했을 경우 매출 전망
• 한국의 라이드헤일링 시장 규모: 연간 약 4.45.0조 원 (약 3540억 달러) (Statista: 한국 라이드헤일링 시장).
• 카카오택시가 **시장 점유율 100%**를 달성한다면 이 범위의 매출 달성이 가능.
• 추가적인 부가 서비스(배달, 물류 등)와 결합하면 매출 규모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 있음.
2. 서비스 가능 시장 (SAM, Serviceable Addressable Market)
2.1 기술적 장벽
• 규제 준수: 한국의 택시 호출 서비스는 정부의 규제 및 면허 시스템을 준수해야 함.
• 인프라 및 하드웨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 필요.
• 택시 기사 요건: 차량이 카카오 드라이버 앱을 설치하고, 각 도시의 규정을 준수해야 함.
2.2 지역적 접근 가능성
• 도시 vs. 지방:
• 대도시에서는 앱 기반 호출 서비스가 활발하나, 일부 지방에서는 전통적인 콜택시나 길거리 택시 이용 선호.
• 이를 고려하여 TAM에서 약 20~30% 감소한 3,000만~3,500만 명 정도가 현실적인 시장 규모.
2.3 플랫폼 제약
• 스마트폰 OS: 카카오택시는 iOS 및 Android를 지원하므로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
• 앱 사용 습관:
• 일부 고령층은 전화 기반 예약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음.
• 이에 따라 전체 TAM에서 5~10%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SAM 예측 계산
• 총 잠재 사용자 (TAM): 4,500만 명
• 앱 사용에 소극적인 사용자 제거 (-20%)
• 지방 및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지역 조정 (-10%)
• 현실적인 SAM: 약 3,000만~3,500만 명.
3. 서비스 가능 획득 시장 (SOM, 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3.1 경쟁 환경 분석
• 국내 경쟁사: 티맵택시, UT(우버 + 티맵), 지역 기반 택시 앱 등.
• 시장 점유율: 카카오택시는 이미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나, 경쟁사와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
3.2 시장 침투율 전망
• 현실적인 점유율 목표:
• 브랜드 인지도가 높더라도 서비스 이용자의 50~70% 정도를 목표로 하는 것이 합리적.
• 경쟁 상황, 운전자 확보, 서비스 개선 등을 고려하여 점진적 확장 예상.
3.3 성장 가능성
• 확장 가능성:
• 추가 서비스(퀵 서비스, 배달, 렌터카 등)와 연계 가능.
• 예상 시장 점유율 변화
• 1년 차: SAM의 30% 달성 (~1,000만 명)
• 3년 차: 50% (1,500만1,800만 명)
• 5년 차: 60~70% (2,000만2,500만 명)
최종 정리
1. TAM (총 시장, 약 4,500만 명 / 연간 5조 원 시장)
• 한국 내 스마트폰 사용자 중 택시 호출 가능 인구.
2. SAM (서비스 가능 시장, 약 3,000만~3,500만 명)
• 대도시 중심, 스마트폰 친화적 사용자 기반.
3. SOM (실제 확보 가능한 시장, 1,500만~2,500만 명)
• 경쟁사를 고려한 시장 점유율 전망, 서비스 확장에 따라 성장 가능.
매출 전망
• 15~25백만 명의 활성 사용자가 있을 경우
• 평균 승차 요금 10,000원 × 연간 50회 이용
• 연 매출 7.5조12.5조 원 (약 60100억 달러)
• 카카오택시의 수수료 구조(약 1020%)를 감안하면 연 **0.75조2.5조 원 (약 6~20억 달러) 수익 예상**.
추가 데이터 참고
• Statista – 한국의 라이드헤일링 시장
• 통계청 – 인구 및 주택 센서스
• Market Research Future – 글로벌 라이드헤일링 시장 분석
이러한 데이터는 시장 크기 추정의 신뢰도를 높이고 향후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T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을 위한 ChatGPT 프롬프트 모음 (0) | 2025.02.07 |
---|---|
지하철 앉아서 가는 실용적인 꿀팁 (0) | 2025.02.07 |
ChatGPT로 지라(Jira) 이슈 작성하기 (0) | 2025.02.06 |
트위터의 기업가치는? (0) | 2025.02.04 |
스타트업에서 AI 활용하기: Y Combinator의 인사이트 (0) | 2025.01.23 |
이더리움 투자 전략: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접근법 (0) | 2025.01.21 |
밈코인의 시대: TRUMP와 MELANIA가 크립토 시장에 던진 질문 (0) | 2025.01.21 |
미국이 틱톡 금지한 이유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