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수료 비즈니스 모델 중에서 커미션과 fee의 차이를 잘 설명한 포스팅입니다. 웹 비즈니스에서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인 광고도 유사한 고민이 있습니다.
광고는 특히 광고대행사에 의해 크게 움직이는 시장입니다. 문제는 국내 광고대행사는 매체사에게 수수료를 받는 구조입니다. 반면에 해외 광고 대행사는 광고주에게 fee를 받는 구조이고요.
이렇다보니 국내 광고대행사는 본인들의 영업이익을 깍으면서 매체사에게 받는 일부 수수료를 광고주에게 리베이트를 주기도 합니다. 시장이 지나치게 가열되었고요. 이제 시기적으로 fee구조로 바뀌어야 하는데 그 시작을 네이버가 해야하는데 워낙 여러 역학 관계가 엮여서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커미션 구조가 클라이언트의 본질을 잊게 만드는 경우가 많은만큼 이런 시장에는 기회가 존재한다는 점 공감합니다.
반응형
'IT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브스, Camerama 인수 (0) | 2015.03.20 |
---|---|
애플, TV 서비스 런칭 소식 (0) | 2015.03.20 |
패키지 전문 스타트업, Pakible (0) | 2015.03.20 |
페이스북, TheFind 인수 (0) | 2015.03.20 |
기가옴(gigaom) 필진 트위터 리스트 (0) | 2015.03.20 |
버즈피드(buzzfeed) 소개 (2012.06.23 00:19) (0) | 2015.03.13 |
허핑톤 포스트(Huffington Post)의 게이미피케이션 설계(2012.11.11 20:30) (0) | 2015.03.13 |
스택오버플로우 (stackoverflow)의 게이미피케이션 설계 (2012.11.11 20:45) (0) | 201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