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차트는 월단위매출, 매출누계, 이동합계 이 세가지 데이터를 차트로 표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단기적 추이(매출누계)와 장기적 추이(이동합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유용한 분석 방법이다.
Z차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근 12개월 데이터에 대해 아래 세가지 데이터가 필요하다.
1. 월별매출: 매월 매출값을 나타낸다.
2. 매출누계: 월별 매출을 누적한 값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누적매출이다.
3. 이동합계: 기준이 되는 월 매출에 그 이전 11개월치 데이터를 더한 값이다. 즉 해당 월 기준으로 최근 1년치 누적 합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면 아래는 상품 A, B, C의 최근 2년간 매출 데이터이다. 그리고 상품 A, B, C 각각의 월별매출, 매출누계, 이동합계를 계산해보았다. 상품 A는 매월 매출이 같다. 상품 B는 매월 +5%의 성장율을 보이며, 반대로 상품C는 매월 -5%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아래는 상품 A, B, C의 월별매출, 매출누계, 이동합계를 Z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상품A는 증감 상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매출누계는 단기적인 추이를 보여주며, 이동합계는 장기적인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장기, 단기적으로 증가 및 감소 추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매출 추이는 안정적인 상태이다. 하지만 일종의 정체기이기 때문에 추가 성장을 위한 별도의 액션이 요구되는 단계이다.
상품 B는 장기 트렌드를 나타내는 이동합계가 증가세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기 추이를 보이는 매출누계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그래프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상품 C는 감소 추이이며, 매출누계(단기 추이)와 이동합계(장기 추이) 모두 감소세인 것을 알 수 있다. 성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액션이 요구되는 상황인 것이다.
예시는 매우 극단적인 경우였으며, 대부분 현실 데이터는 복합적인 추이를 보일 것이다. 즉 매출누계가 초기에는 감소하다가 증가세로 전환된다거나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Z차트를 활용하면 장기적 트렌드와 단기적 트렌드를 같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매니지먼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forced errors 줄이는 것 (0) | 2021.01.23 |
---|---|
프로젝트 우선순위 정하는 방법, BRICE (0) | 2021.01.17 |
ROI 뜻은? 정의 및 계산 (0) | 2020.10.15 |
CAGR(연평균성장률) 계산 방법 (0) | 2020.10.14 |
RFM 분석하기 - 고객 분류 방법론 (0) | 2020.10.14 |
초격차 리더의 질문 중에서 ‘권한 위임과 아웃풋의 디테일’ (0) | 2020.09.17 |
이터레이션 속도 최적화하기 (0) | 2020.09.13 |
애플은 왜 기능조직 구조로 운영되는가? (0) | 2020.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