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130

크리테오 크로스 디바이스 리포트

프랑스 타겟팅 광고 기업 크리테오가 발행한 크로스 디바이스 광고 보고서입니다. 크로스 디바이스 광고는 사용자가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하건 상관없이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솔루션입니다. 예를 들면 PC를 통해 의류 정보를 보았다면 해당 사용자가 태블릿이나 모바일 접속시 해당 의류에 해당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것입니다. 모바일에서 쿠키 정보를 통해 완벽히 타겟팅할 수 없기 때문에 싱글사인온 기반이나 각종 콘텍스트릉 기반으로 사용자를 추론하는 방식이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미국은 올해 초부터 크로스 디바이스 키워드가 유행하고 관련 솔루션이 나왔으니 국내는 대략 내년말이나 2016년 되어야 뭔가 유사한 상품이 나올 것 같네요. 아직 온라인 광고 업계는 관련 키워드도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

IT트렌드 2014.11.12

키보드가 아닌 키보드, AirType

AirType이라는 재미있는 제품이 개발중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피쳐폰 시절부터 휴대폰을 많이 사용해서 엄지손가락에 장애 비슷하게 있는데요 ㅠ_ㅠ AirType은 모바일, 태블릿에서 타이핑하는 것에 대한 불편사항을 해결하고자 하는 제품입니다. 일명 "keyboardless keyboard"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예전에 버츄얼 키보드 컨셉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AirType은 이들 컨셉과 달리 마치 시리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학습하듯이, 사용자의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학습을 기반으로 해서 타이핑 정보를 전달하는 제품입니다. 아직 컨셉 영상만 공개된 것 같고요. 실제 제품은 얼마나 정교하게 나올까요? HCI 관련해서 지식이 없어 기술적으로 얼마나 고도화가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관련 기사: h..

IT트렌드 2014.11.07

아마존 2014년 3분기 실적발표

아마존 2014년 3분기 실적발표를 했습니다. 모든 지표가 시장의 기대치를 못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었는데요. 아직 e-commerce 분야에서 경쟁사라 할 수 있는 월마트, GAP, 베스트 바이 같은 온오프라인 접점을 가진 사업자 대비해서는 높은 성장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y/y 26% vs 22%). 그 간극이 그렇게 커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동안 시장이 수익성이 낮은 아마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던 것은 제프 베조스의 장기적인 안목과 공격적인 움직임 때문이었습니다. 최근 아마존은 몇가지 행보를 보였습니다. - 파이어폰 출시 - 스퀘어 대항마 Local Register 출시 - 아마존 프라임 프레시 뉴욕 서비스 개시 -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Twitch 인수 - Twitch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 강화를 ..

IT트렌드 2014.11.04

2014년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현황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분기단위로 처음으로 3억 대를 넘었습니다. 약 3억 3000만대 수준인데요. 전년 3분기 2억 6000만대와 비교하면 엄청난 성장입니다. 아시아 제조사의 성장이 이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샤오미는 2014년 3분기에 전년대비 약 240% 성장한 1790만대를 출하했습니다. 이밖에 4위권 진입 경쟁이 치열한대요. 레노보, LG, 화웨이가 전년 대비해서약 30~45% 가량 성장하여 1680만~1690만대 수준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얼마전에 국내에서도 발매가 시작한 아이폰6와 6 플러스 덕분에 전년 대비 17% 성장한 약 3900만대 출하량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삼성은 가장 크게 시장점유율을 잃은 플레이어로 기록되었으며 전년대비 5% 하락한 7850만대를 판매했습니다. 삼성의 ..

IT트렌드 2014.11.03

SaaS스타트업 Slack, 빌리언 달러 클럽에 들어가

실리콘밸리에 오랜만에 빌리언달러 스타트업이 나타났습니다. Slack이라는 Saas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고요. 구글, Kleiner Perkins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면서 11억 2천만 달러의 기업가치가 책정되었다고 합니다. 런칭한지 8개월 밖에 안된 기업에 일토록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제가 Slack을 처음알게 된 것은 미국 스타트업에 일하는 지인이 회사 협업 툴로 Slack을 사용한다고 소개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Slack은 일종의 기업용 메시지 서비스이고요. 모바일, PC를 모두 지원합니다. 특히 PC버전은 개발자들이 좋아할만한 기능들이 많은데요. 제 지인 느낌상 매주 새로운 기능이 배포되는 것 같다고 했습니다. 기능이 많은 것이 꼭 좋지는 않지만 SasS 프로덕트 같은 경우에는..

IT트렌드 2014.11.01

Gawker Media, 콘텐츠와 커머스 융합 적극적으로 나서

커머스와 콘텐츠 융합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블로그 네트워크로 유명한 Gawker Media가 자사가 유통하는 콘텐츠에 커머스를 통합하는 부분을 고민중이라고 합니다. Gawker의 사업개발 VP인 Erin Pettigrew(기업의 실질적인 2인자)가 이러한 움직임에 중추를 담당하고 역동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Gawker Media에서 커머스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10%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Gawker측은 향후 커머스가 자사 전체 매출의 1/3 수준까지 성장할 것이라가고 의지치를 밝혔는데요. 올해 Gawker는 이미 커머스 분야에서 52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는 작년 매출을 이미 넘어선 수치라고 합니다. 더욱이 Gawker 커머스 매출 전환율이 8~12% 수..

IT트렌드 2014.10.30

deeplink.me, 마켓플레이스 통해 앱퍼블리셔 확장 노려

딥링크라는 단어만큼 오해가 많은 용어도 없을 것입니다. 요즘 유행하는 딥링크는 앱내부 특정 화면으로 이동하는 딥링크 인앱을 말하는데요. 관련해서 구글은 앱인덱싱, 페이스북은 앱링크라는 자체 규약을 만들었습니다.왜 모바일 딥링킹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좀처럼 보기 힘든데요. 누구는 구글 크롤링이 접근할 수 없는 앱내부 콘텐츠에 대한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패턴 분석을 위한 해석이라느것도 있습니다. 여기 deeplink.me라는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이른 시점부터 이 분야에 등장한 플레이어인데요. 오늘 딥링크 마켓플레이스라고 앱퍼블리셔가 인앱 딥링크를 할 수 있도록 sdk와 api를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그리고 deepsearch라는 샘플앱도 배포했습니다. iOS버전만 ..

IT트렌드 2014.10.22

URL 기반으로 모바일 채팅을 지원하는 서비스, GNum

GNum이라는 싱가포르 스타트업이 미화로 56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는 뉴스입니다. 우리나라 돈으로 59억 수준으로 액수가 엄청난대요. GNum은 URL 기반으로 모바일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기존 지인이 아닌 사람들과 채팅을 할때 내 카카오 아이디를 오픈하는 것이 두려운데요. 그럴 경우 GNum은 URL이 마치 전화번호인 것처럼 생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서비스 유형이 제휴하기 적당한대요. 이미 통신사들과 제휴 관련해서 협상도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GNum은 투자 받은 금액을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필리핀 확장에 활용한다고 밝혔습니다. GNum과 같은 모델을 보면 MIM 서비스도 weak-tie로 얼마든지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

IT트렌드 2014.10.20

미국 케이블TV 사업자, 온라인 스트리밍 시장 대응 시작해

미국 케이블 TV 시장은 2014년 2분기 기점으로 브로드밴드 가입자수가 케이블TV 가입자 수를 추월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올해 이미 CBS와 Time Warner는 각각 자사 보유 방송인 Showtime과 HBO 영상 콘텐츠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부분 관련해서 드디어 현실화가 되었습니다. 우선 어제 HBO가 내년에 온라인 영상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HBO는 HBO GO Service를 통해 자사 유료 케이블 고객들에게 제한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했는데요. 이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넷플릭스로 떠나는 코드커터들을 고려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타임워너 CEO가 HBO에 대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로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암시해 왔..

IT트렌드 2014.10.16

데어데블, 넷플릭스 판으로 제작돼

폭스로부터 판권을 작년 말에 환수 받았던 데어데블이 넷플릭스판으로 제작중이라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이 13부작 드라마가 슬슬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가 뉴욕 코믹콘에서 데이데블 일부를 공개했습니다. 데어데블 주연배우인 찰리 콕스에 따르면 공동 제작사 넷플릭스가 데어데블 드라마 작가에게 많은 자유도를 부여했다고 합니다. 13부작 드라마가 아닌 13시간 런닝타임의 영화를 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고 장담하네요. OTT 사업자로서 넷플릭스가 스트리밍 서비스에 걸맞는 독점 콘텐츠로 시장에 승부스를 띄우고 있는데요. 하우스 오브 카드 이후 계속되는 자체제작 콘텐츠를 통해 케이블 사업자와 완전한 차별화를 이루게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밖에 넷플릭스 관련 기타 뉴스로 넷플릭스가 UHD(4K) 구독료..

IT트렌드 2014.10.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