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트렌드 451

포브스, Camerama 인수

포브스가 Camerama라는 사진공유앱 업체를 인수했습니다. 인력 인수 성격이 강한데요. 해당 스타트업 창업자를 모바일 프로덕트 VP로 선임하고 Camerama 시스템을 기반으로 모바일 플랫폼 확장을 생각한다고 하네요. 요즘 미국에서 뉴스사업자들 모두 버즈피드 바라기가 됐다는데요. 단순히 앱을 만들어 추가 수익 구조를 꾀할지 혹은 오디언스 확방을 통해 네이티브 광고 및 기타 브랜디드 광고 모델을 생각할지 행보가 궁금하네요.

IT트렌드 2015.03.20

애플, TV 서비스 런칭 소식

애플이 올해 가을에 TV서비스를 런칭한다는 뉴스입니다. 약 25개 채널가 제공될 갓이고 가격은 월구독료로 30~40달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네요. 애플이 다른 산업군인 케이블 네트워크 비즈니스까지 손을 뻗치는 것이 아닌가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앱스토어 기반의 콘텐츠 판매 외에 안정적으로 구독료 기반 비즈니스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입니다.

IT트렌드 2015.03.20

페이스북, TheFind 인수

페이스북의 TheFind 인수는 프로덕트 광고 강화와 buy버튼 활성화 측면에서 분석했네요. theFind의 쇼핑검색엔진이 광고를 통해 전환한 고객을 식별하여 사용자에 대한 광고 연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해석입니다. 페이스북은 광고를 컨텐츠와 유사한 선상에서 바라보기에 가능한 그림 같습니다. 비디오 광고만 해도 프리롤 광고가 아닌 동영상 자체를 팔지 누가 알았을까요? 바이버튼 활성은 현재 페북 그룹 및 페이지로 이뤄지는 거래를 조금이라도 수익화할 수 있다는 기대인데요. 네이버가 중고나라를 자기네 수익으로 못 돌리듯이 쉽지 않을 것입니다. 아마 네이버도 이에 대한 야욕이 있을텐데 어떤 움직임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괜히 돈마블이랑 손잡고 다카오 때리기 하지마시고. Facebook Powers Up Its E..

IT트렌드 2015.03.20

커미션 vs. fee

수수료 비즈니스 모델 중에서 커미션과 fee의 차이를 잘 설명한 포스팅입니다. 웹 비즈니스에서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인 광고도 유사한 고민이 있습니다. 광고는 특히 광고대행사에 의해 크게 움직이는 시장입니다. 문제는 국내 광고대행사는 매체사에게 수수료를 받는 구조입니다. 반면에 해외 광고 대행사는 광고주에게 fee를 받는 구조이고요. 이렇다보니 국내 광고대행사는 본인들의 영업이익을 깍으면서 매체사에게 받는 일부 수수료를 광고주에게 리베이트를 주기도 합니다. 시장이 지나치게 가열되었고요. 이제 시기적으로 fee구조로 바뀌어야 하는데 그 시작을 네이버가 해야하는데 워낙 여러 역학 관계가 엮여서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커미션 구조가 클라이언트의 본질을 잊게 만드는 경우가 많은만큼 이런 시장에는 기회가 존재한다..

IT트렌드 2015.03.20

버즈피드(buzzfeed) 소개 (2012.06.23 00:19)

Web 2.0 Peretti 버즈피드는 일종의 커뮤니티 뉴스 서비스임. 사용자가 올리는 뉴스뿐만 아니라 버즈피드 제휴 콘텐츠/뉴스 서비스가 올린 뉴스가 주요 콘텐츠로서 피쳐링된다. 버즈피드는 의도적으로 소셜웹 서비스와 연동을 강력히 지원하고 있다. 특히 스텀블어펀, 페이스북, 레딧과 같은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레퍼러 데이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들 데이터를 별도의 지표로 분리하여 Viral View라고 관리하고 있다. 이 트래픽 데이터는 버즈피드 자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데이터와 분리하여 측정하고 있다. 물론 사용자도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이들 트래픽 데이터를 분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버즈피드는 소셜웹에서 버즈피드 콘텐츠를 쉐어링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때 인터넷 용어에서 영감..

IT트렌드 2015.03.13

허핑톤 포스트(Huffington Post)의 게이미피케이션 설계(2012.11.11 20:30)

1. 개요허핑톤 포스트은 뉴스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게이미피케이션 핵심 액티비티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1) 댓글달기, (2) 부적절한 댓글 신고하기, (3) SNS 연동/보내기, (4) 친구맺기를 통한 자체 네트워크 형성 2. 기대 효과(1)콘텐츠 퀄리티 관리 (댓글 달기 + 댓글 신고 + SNS 공유하기)- 댓글 달기 + SNS 공유하기: 댓글과 url 기반으로 SNS로 공유된 콘텐츠를 가져와 소셜 레이어 확보.- 댓글신고: 콘텐츠 퀄리티 관리 (2)콘텐츠 소비 촉진 (SNS 연동/보내기 + 친구맺기)- SNS 연동/보내기: SNS 보내기 및 소셜 리딩 기능 통해 레퍼러 트래픽 확보할 수 있음.- 친구맺기: 허핑톤포스트 내부 콘텐츠 소비 촉진 (3)로열티 획득- 배지를 통..

IT트렌드 2015.03.13

스택오버플로우 (stackoverflow)의 게이미피케이션 설계 (2012.11.11 20:45)

• 개요 :: 스택오버플로우는 QnA 서비스이기 때문에 좋은 퀄리티의 질문을 확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액티비티 활성화를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1) 질문하기, (2) 답변하기, (3)추천/반대하기, (4) 편집하기 :: 액티비티에 따라 명성(포인트) 및 배지를 획득하게 된다. 명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내부에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차등 상승하게 된다. • 방법론 :: 명성에 따른 권한 부여 - 명성에 따라 사용자에게 차별적으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함. - 명성 자체가 하나의 권력이 되는 구조임. - 명성에 따른 서비스 내부 랭킹을 도입하여 경쟁요소 부여함. :: 배지가 서비스 가이드 혹은 미션 제공의 역할을 함 - 특정 미션을 수행하면 배지를 제공함. - 다양한 미션에 따른 배지가 존재하며 미션의 ..

IT트렌드 2015.03.13

드랍박스(Dropbox)의 초기 마케팅 전략(2011.08.11 11:56)

Dropbox Startup Lessons LearnedView more presentations from gueste94e4c 1. 일단 멋진 서비스를 만들어라 - 드랍박스가 런칭했을때, 이미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장 분야에서는 10여개의 강력한 업체가 경쟁하고 있었다. 하지만 드랍박스는 블로그, 각종 포럼을 통해 이들 사용자가 만족하지 못한 포인트를 캐치하기 시작했다. 이들 서비스는 안정적이지 못했으며, 종종 파일 에러를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겪게 했다. 즉, 사용자들은 이들 서비스를 신뢰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드랍박스는 이와 같은 니즈를 확인하고, 심플한(당연히 심플하면 그만큼 에러 발생률도 낮게 된다)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기로 결심했다. 사용자는 멋진 상품에 대해..

IT트렌드 2015.03.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