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트렌드 447

버즈피드(buzzfeed) 소개 (2012.06.23 00:19)

Web 2.0 Peretti 버즈피드는 일종의 커뮤니티 뉴스 서비스임. 사용자가 올리는 뉴스뿐만 아니라 버즈피드 제휴 콘텐츠/뉴스 서비스가 올린 뉴스가 주요 콘텐츠로서 피쳐링된다. 버즈피드는 의도적으로 소셜웹 서비스와 연동을 강력히 지원하고 있다. 특히 스텀블어펀, 페이스북, 레딧과 같은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레퍼러 데이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들 데이터를 별도의 지표로 분리하여 Viral View라고 관리하고 있다. 이 트래픽 데이터는 버즈피드 자체에서 발생하는 트래픽 데이터와 분리하여 측정하고 있다. 물론 사용자도 자신의 콘텐츠에 대해 이들 트래픽 데이터를 분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버즈피드는 소셜웹에서 버즈피드 콘텐츠를 쉐어링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때 인터넷 용어에서 영감..

IT트렌드 2015.03.13

허핑톤 포스트(Huffington Post)의 게이미피케이션 설계(2012.11.11 20:30)

1. 개요허핑톤 포스트은 뉴스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게이미피케이션 핵심 액티비티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1) 댓글달기, (2) 부적절한 댓글 신고하기, (3) SNS 연동/보내기, (4) 친구맺기를 통한 자체 네트워크 형성 2. 기대 효과(1)콘텐츠 퀄리티 관리 (댓글 달기 + 댓글 신고 + SNS 공유하기)- 댓글 달기 + SNS 공유하기: 댓글과 url 기반으로 SNS로 공유된 콘텐츠를 가져와 소셜 레이어 확보.- 댓글신고: 콘텐츠 퀄리티 관리 (2)콘텐츠 소비 촉진 (SNS 연동/보내기 + 친구맺기)- SNS 연동/보내기: SNS 보내기 및 소셜 리딩 기능 통해 레퍼러 트래픽 확보할 수 있음.- 친구맺기: 허핑톤포스트 내부 콘텐츠 소비 촉진 (3)로열티 획득- 배지를 통..

IT트렌드 2015.03.13

스택오버플로우 (stackoverflow)의 게이미피케이션 설계 (2012.11.11 20:45)

• 개요 :: 스택오버플로우는 QnA 서비스이기 때문에 좋은 퀄리티의 질문을 확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액티비티 활성화를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1) 질문하기, (2) 답변하기, (3)추천/반대하기, (4) 편집하기 :: 액티비티에 따라 명성(포인트) 및 배지를 획득하게 된다. 명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내부에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차등 상승하게 된다. • 방법론 :: 명성에 따른 권한 부여 - 명성에 따라 사용자에게 차별적으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함. - 명성 자체가 하나의 권력이 되는 구조임. - 명성에 따른 서비스 내부 랭킹을 도입하여 경쟁요소 부여함. :: 배지가 서비스 가이드 혹은 미션 제공의 역할을 함 - 특정 미션을 수행하면 배지를 제공함. - 다양한 미션에 따른 배지가 존재하며 미션의 ..

IT트렌드 2015.03.13

드랍박스(Dropbox)의 초기 마케팅 전략(2011.08.11 11:56)

Dropbox Startup Lessons LearnedView more presentations from gueste94e4c 1. 일단 멋진 서비스를 만들어라 - 드랍박스가 런칭했을때, 이미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장 분야에서는 10여개의 강력한 업체가 경쟁하고 있었다. 하지만 드랍박스는 블로그, 각종 포럼을 통해 이들 사용자가 만족하지 못한 포인트를 캐치하기 시작했다. 이들 서비스는 안정적이지 못했으며, 종종 파일 에러를 생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겪게 했다. 즉, 사용자들은 이들 서비스를 신뢰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드랍박스는 이와 같은 니즈를 확인하고, 심플한(당연히 심플하면 그만큼 에러 발생률도 낮게 된다)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기로 결심했다. 사용자는 멋진 상품에 대해..

IT트렌드 2015.03.13

Airbnb가 배운 빼아픈 6가지 위기관리 교훈(2011.07.30 15:17)

내가 잠시 집을 비우고 있는 동안, 그 집을 누군가에게 빌려주고 이를 통해 돈을 벌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Airbnb는 P2P 렌탈 중계 서비스인데, 세계에 있는 모든 장소에 대해 이러한 관점을 제공한다. 즉, 단순히 내가 살고 있는 집뿐만 아니라, 요트, 심지어 성까지 일정 기간 빌려주고 돈을 받는 방식이다. 요즘 whipcar, getaround처럼 자동차와 같이 항상 내가 사용하지 않는 자산에 대해 추가적인 이익의 기회를 부여하는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공급자 입장에서도 이익이지만, 수요자 입장에서도 일반 호텔, 렌탈 서비스 보다 적은 비용에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다.근데, 보통 이런 서비스의 문제점이 공급자(대여자)의 reputation 관리는 해당 서비스를 기존에..

IT트렌드 2015.03.13

GigaOm 6백만 달러 투자 받아(2011.05.30 09:00)

2011년 뉴스.. 테크 블로그 겸 리서치 그룹 기가옴이 리드 엘세비어 벤쳐로부터 6백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기업 가치는 현재 4천만 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기가옴의 수익 모델은 블로그 지면을 활용한 광고와 현재 2만명을 확보하고 있는 유료 구독모델이다. 현재 기가옴은 창업자 옴 말릭을 비롯해 총 10명의 풀타임 직원이 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옴 말릭의 인사이트가 테크 블로그 가운데 가장 신뢰가 간다. 실제로 옴 말릭은 기가옴 포스팅에서 페북이 그룹 메시징 서비스인 벨루가를 인수해야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실제로 실현되었다. 한국에서는 테크 전문 블로그로 블로터넷이 있다. 블로터넷은 뉴스에 조금 치중하는 느낌이다. 소셜커머스랩처럼 리서치팀도 있는 것 같지만 눈에 띄는 아웃풋은 달리 보이지 않고 강연 및 세..

IT트렌드 2015.03.13

Medium, 에반 윌리엄스의 세번째 도전(2012.09.08 18:29)

Medium: https://medium.com 개인적으로 실리콘밸리 창업자 중에서 에반 윌리엄스를 제일 좋아한다. ev는 블로거, 트위터라는 시대를 새로운 개념의 퍼블리싱 플랫폼을 만들었다. 탁월한 제품을 만들어 낸 이유도 있지만 ev는 서비스 철학을 보여줌에 있어 가징 설득력있고 명쾌한 언어로 비전을 제시한다. 또한 블로거, 오데오, 트위터, 미디엄, 그리고 브랜치 투자까지 퍼블리싱 플랫폼에 대한 일관된 움직임과 고민이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그의 세번째 퍼블리싱 프로젝트 미디엄은 사실 잘 모르겠다(오데오는 차치함). 블로그와 트위터 사이의 중간 개념의 퍼블리싱 플랫폼을 꿈꾸는 것 같다. 하지만 이쪽 마켓은 이미 텀블러가 미디어 측면에서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제..

IT트렌드 2015.03.13

페이스북 메신저 서비스 런칭의 의미는? (2011.8.10)

페이스북이 메신저 서비스를 런칭했다. 구글이야 이미 구글 플러스 준비하면서 그룹 채팅 기능을 따로 빼서 허들 서비스를 준비했는데,페이스북이 현재 잘 나가고 있는 메인 앱과 별도로 독립 앱을 내놓았다는 사실이 새로워 보인다. 사실 그룹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니즈는 컸었다. 올해 SXSW의 화두 역시 그룹 메시지 서비스였으며, GroupMe, kik, fast society, Yobongo와 같은 서비스가 승부스를 던졌었다. 하지만 이미 beluga 서비스가 SXSW 시작하기 전에 페이스북에 인수되면서 개인적인 인상이지만, 이쪽 시장은 사실상 정리되었다고 생각했다. 의미를 이야기하자면, 스타트업 창업자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일텐데 전자는 서비스를 크게 키워 나름의 비즈니스 모델을 착실하게 만들어 계속 수익을..

IT트렌드 2015.03.13
반응형